기술 Q&A > OPEN 환경 Q&A
OPEN 환경 Q&A
[답변] 질산화와 탈질화 구분에 대해
- 작성자 :
- 한태환
- 등록일 :
- 2017-11-26 09:04:21
- 조회수 :
- 2779
안녕하십니까?
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답변드립니다.
질산화와 탈질화는 모두 질소를 분해하는 과정으로 폐수의 질소성분에 대하여 질산화가
진행되고 이후 탈질화가 진행되어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질소제거를 위해서는 탈질 공법이 필요합니다.
질산화 : 단백질 함유 폐수가 배출되며 가수분해 되어 아미노산으로 되고 질산화균에 의해
암모니아질소(NH3-N) , 아질산성 질소(NO2-N) , 질산성질소(NO3-N)의 과정을 거쳐 정화된다.
=> 질산화 영향인자 : 1) PH 적정범위: 7.0 -9.4 2) 용존산소 적정범위: 2.0mg/L이상
3) 미생물(온도): Nitrosomonas(니트로소모나스) 암모니아를 아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킴(35℃)
NH4+ + 1.5O2 -----------→ NO2- + H2O + 2H+
Nitrobacter(니트로박터): 아질산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킴(35 - 42℃)
NO2- + 0.5O2 -----------→ NO3-
전체 반응: NH4+ + 2O2 -------------→ NO3- + H2O + 2H+
질산화 미생물은 질소의 산화과정과 세포의 합성을 동시에 수행
탈질화: 질산화반응에서 생성된 질산성질소는 무산소상태에서 탈질화반응이 일어나
질소화합물이 질소가스(N2)로 환원되므로써 질소제거가 이루어진다.
탈질이란: 미생물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호흡을 하기 위하여 최종 전자수용체
로서 작용하는 질산성 질소를 환원시키는 것을 말하며, 무산소(anoxic)상태에서
일어나기 때문에 혐기성 호흡(anaerobic respiration)이라고도 한다.
용존산소가 없고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산소(즉, NO3-, SO42-, PO43- 등)만이 존재할
때를 혐기성(anaerobic) 상태와 구별하기 위해 무산소(anoxic) 상태라고 한다.
탈질산화과정 : 질산성 질소(NO3-N) → 아질산성질소(NO2-N) → 질소가스(N2)
탈질의 영향인자 : 1) 수온: 35 -50℃ 2) DO: 무산소 조건 3) PH: 7.0 – 8.5
4) 유기물: 1g의 NO3-N 제거에 1.9g의 메탄올이 필요함.(C/N비=4:1)
5) 탈질화 미생물:Pseudomonas(슈도모나스), bacillus(바실루스)
micrococcus(마이크로코쿠스: 구균)
좀더 자세한 사항에 대하여 문의하고 싶으시면 홈페이지 연락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
그러면 현장에 방문하여 귀사에 맞는 진단 및 개선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- 이전글
- 링 블로어에 대해서